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

심리학의 주요이론-무의식 무의식은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두뇌 활동 즉, 자각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어떠한 동기나 과정, 기억과 상관없이 저절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 작용이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는 꿈이나 농담 따위를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고도 이해하고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으로 설명한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같은 이론을 전제로 하는 별개의 영역으로서의 무의식 개념으로 설명하기도 하기도 한다. 비정신분석학적 학문들에서는 비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의식적 자각에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 정신적인 활동을 가리키는데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의식을 다룬다. 무의식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전제로 의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철학의 분야에서는 의식과 자아는 동일시되어.. 2023. 2. 4.
심리학의 분야 심리학은 임상가들에 의해 연구되는 질적 연구 방법과 기초 분야 전공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는 양적 연구 방법이 있는데, 양자가 혼용되는 경우도 많다. 양적 연구 방법은 반응시간 연구, 지능 연구 사례처럼 연구 대상의 특성을 수치화, 계량화하기 용이한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질적 연구 방법은 소수의 사례를 깊이 있게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질적 연구 상담에서는 주로 상담, 질문지 작성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데, 내담자나 연구 대상의 심리적 상태를 깊이 있게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리학이 사용하는 방법의 과학성은 심리학을 경험과학답게 만들어 주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양적 연구 방법의 주된 목적은 통계학의 지식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특성을 기술하고, 예측하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2023. 2. 4.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 영혼에 대한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인간과 관계된 모든 영역에서 심리학이 요구되기 때문에 인문과학에서 자연과학, 공학, 예술까지 많은 분야에 영향을 끼친다. 이렇듯 심리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그 정의의 분야를 달리할 수 있는데 근대 이후 심리학에서 특히나 '행동에 관한 과학'이라는 정의도 빼놓을 수 없다. 심리학이란 용어의 역사는 짧더라도 인간의 역사 동안 심리학에 대한 생각은 이어져 왔다고 봐야 한다. 현대 심리학이 생기기 이전엔 심리학을 철학자들의 영역으로 간주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식론에 대해 다루었고, 데크파트와 스피노자 등으로 이어졌다. 1010년 과학자 알하이탐은 《광학》에 심리학적인 개념으로서 시각을 설명하며 출간했다. 독.. 2023. 2. 2.